라벨이 신차 길들이기인 게시물 표시

추천

원동기 2종소형 다륜원동기 면허시험 준비물과 과정 상세하게 풀이 + 자료준비

이미지
원동기 2종소형 다륜원동기 면허시험 준비물과 과정 상세하게 풀이 + 자료준비 원동기, 2종소형 준비물 과정 면허시험 과정, 순서 학과시험후 불합격시 다음날 응시가능, 실기만 불합격시 3일후 응시가능 교통안전교육 ( 각 지역별 ) : 주민번호로 접속후 확인하면 지역, 날짜, 시간    까지                                        자신이 원하는시간에 응시 가능합니다.   👈 교통안전교육 응시자격 원동기면허, 2종소형면허의 구분 다륜원동기 면허 ( ATV) ♨ 주의 : 바퀴가 3개짜리인것부터가 다륜원동기인데 이건 면허만 있다고 전부 도로주행이 가능한건 아닙니다. 농업용으로만든 기계나 오프로드 레저용 다륜 원동기는 도로주행 자체가 불법입니다. 차동장치가 달려있고 도로주행이 가능 하게 형식승인 받은 제품만 번호판 부착후 합법적주행이 가능하며 농업용이나 오프로드 레져용은 수백 들여도 대부분 번호판발급이 불가능합니다. 도로주행이 합법적인 오프로드 다륜은 보통 1~2천대로 자동차보다 살짝 비쌈 중국산은 제외하고 국산125cc 다륜(올-코트 D)도 환경문제로 올스탑. 중국산 200~300짜리는 그냥 바라보는것도 포기하시길....*레기임 # 원동기 면허로는 다륜 운전이 가능하지만 다륜 면허로는 이륜차 운전불가능 다륜도 원동기와 같이 125 까지는 이 면허로 운전이 가능하지만 125를 초과 하는 다륜이라면 2종 소형이 필요합니다. 다륜 원동기 면허또한 모든시험장에서 가능한게 아니니 자신의지역 시험장에 미리 전화 확인후 방문하는게 두번가지 않는방법임. 아래표는 예전도표라  지금은 조금 더 업데이트  됐을겁니다. 준비물 허용되는 사진규격. 면허소지자 인터넷 갱신시 파일설정 각 과정별 소요금액 (2021년 7월 현재 가장 최...

바이크 오토바이 길들이기 꼭 해야만할까 ? 안하면 어떻게될까

이미지
아래 문구는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져있는 BMW 자동차용 메뉴얼을 퍼온겁니다. 하물며 그 잘만든 자동차조차도 길들이기를 하라고 메뉴얼에 나옵니다........가끔 판매하는 업자들이 그런거 필요 없다고, 요즘 기술력이 좋아져서 처음부터 그냥 달리면 된다고 말 하던데요. 처음부터 그렇게 달리면 연비와 내구성을 깎아먹고 수명도 줄어듭니다.......그럼 노나는건 판매자겠군요. 몇달타다 팔더라도 그건 좀 너무한것 같아요. 다음 구매자는 뭣모르고 고생하게 될테니까요. 길들이기 뭔데. ​Up to 1,200 miles/2,000 km  Do not exceed the maximum engine and road speed:  ▷ For gasoline engine 4,500 rpm and 100 mph/160 km/h.  ▷ For diesel engine 3,500 rpm and 93 mph/150 km/h.  Avoid full load or kickdown under all circumstances. Image by  mbll  from  Pixabay   ​영어가 짧아서 2천km까지는 적정 rpm을 고수하라는 뜻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 길들이기는 어떻게하는게 좋을까? 아무리 좋은기술력으로 만든다하더라도 세라믹 코팅을 하더라도.....금속과 금속이 맞닿아 쉴세없이 비벼대기에 쇳가루는 나옵니다..엔진오일도 이것저것 바꿔도 아무런 문제없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오일도 오일마다의 특성이있어 유막이란게 생성됩니다.오일을 이것저것 자주 막 바꾸면 오히려 이 유막형성을 방해할테구요...그 말은 엔진의 수명이 빠르게 단축 된다는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여기선 보통 길게 정석관리'를 언급하는게 되겠죠. 신차 구입후 처음 약 200km서행후 오일과필터를 같이교체합니다.여기서 말하는 교체주기는 일반 저렴한 광유기준 이야기 입니다.합성유를 쓸거라도 처음 2~3번 정도는 적당히 저렴한걸로 자주 교체해...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토바이 타이어 공기압 체크, 바이크 타이어 공기압은 얼마가 좋을까 ?

바이크 LED, HID, 라이트전구 함부로 교체하지 마세요. 낭패 봅니다

​바이크 공랭식엔진 수냉식엔진 장단점. 잘못된 편견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