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냉식인 게시물 표시

추천

원동기 2종소형 다륜원동기 면허시험 준비물과 과정 상세하게 풀이 + 자료준비

이미지
원동기 2종소형 다륜원동기 면허시험 준비물과 과정 상세하게 풀이 + 자료준비 원동기, 2종소형 준비물 과정 면허시험 과정, 순서 학과시험후 불합격시 다음날 응시가능, 실기만 불합격시 3일후 응시가능 교통안전교육 ( 각 지역별 ) : 주민번호로 접속후 확인하면 지역, 날짜, 시간    까지                                        자신이 원하는시간에 응시 가능합니다.   👈 교통안전교육 응시자격 원동기면허, 2종소형면허의 구분 다륜원동기 면허 ( ATV) ♨ 주의 : 바퀴가 3개짜리인것부터가 다륜원동기인데 이건 면허만 있다고 전부 도로주행이 가능한건 아닙니다. 농업용으로만든 기계나 오프로드 레저용 다륜 원동기는 도로주행 자체가 불법입니다. 차동장치가 달려있고 도로주행이 가능 하게 형식승인 받은 제품만 번호판 부착후 합법적주행이 가능하며 농업용이나 오프로드 레져용은 수백 들여도 대부분 번호판발급이 불가능합니다. 도로주행이 합법적인 오프로드 다륜은 보통 1~2천대로 자동차보다 살짝 비쌈 중국산은 제외하고 국산125cc 다륜(올-코트 D)도 환경문제로 올스탑. 중국산 200~300짜리는 그냥 바라보는것도 포기하시길....*레기임 # 원동기 면허로는 다륜 운전이 가능하지만 다륜 면허로는 이륜차 운전불가능 다륜도 원동기와 같이 125 까지는 이 면허로 운전이 가능하지만 125를 초과 하는 다륜이라면 2종 소형이 필요합니다. 다륜 원동기 면허또한 모든시험장에서 가능한게 아니니 자신의지역 시험장에 미리 전화 확인후 방문하는게 두번가지 않는방법임. 아래표는 예전도표라  지금은 조금 더 업데이트  됐을겁니다. 준비물 허용되는 사진규격. 면허소지자 인터넷 갱신시 파일설정 각 과정별 소요금액 (2021년 7월 현재 가장 최...

레플리카 네이키드 차이점 N과 R 구분하는방법 튜닝의끝은 순정이다.

이미지
왜 이런글을 쓰게됐냐하면'.......예전질문중에 바이크를 구입해 1~2년잘타다 신형이 새로나왔는데 카울이 멋지게 입혀져 다른바이크처럼 보인다고 신형 카울만 구입해...여기에 브라켓 만들어 씌우면 어떻겠냐고 글이 올라왔기에 거기에 답변한 내용에 추가 첨부한겁니다. 그리고 이런경우 대부분 엔진도 공랭과 수냉으로 조금 크기차이도나고 고정위치도 다르며 알게모르게 전부 조금씩 길이도 달라 어거지로 아니면 거의 잘 안맞습니다......그냥 맘편하게 중고판매 잘 하고 신형으로 기변하는게 훨씬 절약되며........시간낭비 안하는 지름길입니다...이 이야기 하다보니 예전에 공랭엔진 실린더를 주물로 떠서 수냉식 만들어 타던 기억도 나네요......물론 큰 바이크사가 참여한 일이였긴 했습니다만' 그 시제품을 제가 탔었다는 쾌감이 있긴 했었습니다......국내에 아직 수냉식 바이크가 없던시절....대림혼다에서 VT-250을 들여오며 처참히 깨졌던 때쯤이였던것 같습니다. 꼭 명심하세요. 큰 메이져 튜닝회사에 맞겨 튜닝 제작하는게 아니라면 아무리 잘만들어도 애물단지로 전락하게 됩니다 뭐 하나 고장날때마다 그 부품 다시 `제작'해야하는 십자가 메고 가시밭 길' 네이키드 바이크 ( N ) 엔진이 보이고 그 외 거추장스러운게 전혀없는 내츄럴 스타일 레이싱-레플리카 바이크 ( R, RR ) 카울로 엔진이 가려지고 카울과 휠정도만 보이며 공기저항을 덜받는스타일 레플리카' 와 네이키드'의 가장 큰차이는 외형입니다...........레플리카는 바람의 저항을 덜받게 전체가 카울로 덮혀있고 엔진이 거의 안보이지만....네이키드는 프레임과 엔진이 전부 노출이 된 상태의 바이크를 말합니다.위의 두 바이크는 모두 혼다에서나온 400cc 바이크인데 카울로인해 디자인 자체가 전혀 다르게 보이죠. 두번째사진의 레플리카형(프레임과 엔진도 조금다름)바이크를 구입해 카울을 벗겨낸다고 바로 네이키드가 되긴 힘듭니다.....공장에서 제조될떄 부터 목적이 다르게 생산돼 벗...

​바이크 공랭식엔진 수냉식엔진 장단점. 잘못된 편견과 이해

이미지
​바이크 공랭식엔진, 수냉식엔진 장단점. 잘못된편견 과 이해 PIXABAY 제일먼저 수냉식과 공랭식 엔진의 제일 큰 차이는.....공랭식이 훨씬 가볍고 간단합니다. 실린더 벽에.....열 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주석과 같은 합금 으로 냉각핀을 만들어 주행시 바람이 닿는면적을 많게 해 최대한의 냉각효과를 꾀하고 있습니다.반면수냉식 엔진은 실린더벽에 공간을 만들어...그 사이 냉각수가 강제 순환되게끔 설계를 해서 공랭식에 비해 많이 복잡하고 무겁습니다.....흔히들 공랭식은 장거리를 못타고 꼭수냉식만 장거리가 가능한것처럼 이야기들을 하는걸 볼때 조금은 답답한 마음이들더군요..........수냉식이나 공랭식이나 주행풍에 열을  식히지 못하게되면 엔진이 과열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간혹 수냉식중에도 라지에터 앞에 냉각휀이 달려있는 경우 그나마 조금 냉각효과가 좋을뿐이죠... 공랭식보다 수냉식이 조금더 넓은 영역에서세워둔채 공회전하면 열받기는 마찬 가지임안정적인 냉각방식일뿐...공냉식은 장거리 못탄다는말은 왠지 납득이 가지를 않네요......자동차 중에도 아직 공랭식을 고집하는 차량도 있지요 ? 폭스바겐의 특정 차종도 아직공랭식을 고집하고 설계하는데......이건 장거리 주행차이가 아닌 공랭식 으로도 충분히냉각효과를 볼수있다고 자신하기 때문에 그럴겁니다.......수냉식도 무리하게 주행하면오버히트 하고 라지에타 캡을 통해 역류하기도 합니다. 또 수냉식은 엔진이 어느정도열받아 적정온도 (대략70도)가 될때까지는 엔진이 정숙하지 않습니다. 써모스탯' 이열려 냉각수가 순환되어야 비로소 정숙한 주행이 된다고 봐야겠죠.....공랭식은 사고시물론 이것도없는 강제순환 방식도 있음넘어져 냉각핀이 조금 땅에닿아 한두개가 부러진다 해도 냉각효과에 그리 많은 영향을 주지는 안습니다..하지만 수냉식의 경우 넘어져 라지에타가 땅에 닿으면 쉽게  냉각수가세어 나올수 있습니다.....아주 가볍고 얇은 전도율이 좋은 알미늄으로 만들어져 있기에쉽게 손상될수 있으며...단...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오토바이 타이어 공기압 체크, 바이크 타이어 공기압은 얼마가 좋을까 ?

바이크 LED, HID, 라이트전구 함부로 교체하지 마세요. 낭패 봅니다

​바이크 공랭식엔진 수냉식엔진 장단점. 잘못된 편견과 이해